- 목차 (Content)
서울형 긴급복지 생계지원비 신청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는 코로나19 상황에 맞춰 한시적으로 완화했던 지원기준을 개정하여 1월 12일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위소득 기준 완화, 생계지원 단가 인상 등 변경된 사항에 대한 설명과,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 기준부터 신청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대상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대상은 갑작스러운 위기사유 발생으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가구입니다. 위기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주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방불명, 구금시설에 수용되는 등의 사유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경우
-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 유기되거나 학대 등을 당한 경우
- 가정폭력을 당하여 가구구성원과 함께 원만한 가정생활이 곤란하거나 가구구성원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한 경우
- 화재 등으로 인하여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휴업, 폐업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경우
-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실직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유
서울형 긴급복지 선정기준
선정기준은 소득기준과 재산기준, 금융재산기준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소득기준은 기존에는 중위소득 85% 이하였으나, 코로나19와 관련하여 감염병 위기경보 ‘심각’ 단계 유지 시까지 한시적으로 선정기준을 중위소득 100% 이하로 완화하여 운영 합니다.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1,944,812원 | 3,260,085원 | 4,194,701원 | 5,121,080원 | 5,120,838원 | 5,870,953원 |
재산기준은 기존 3억 1,000만 원 이하였으나 3억 7,900만 원으로 완화되었으며, 금융재산기준은 기준과 동일하게 1,000만 원 이하가 되겠습니다.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내용
서울형 긴급복지 지원제도는 위기가구에 필요한 맞춤형 물품 및 현금을 지원해 줍니다.
지원항목 | 가구 구성원 수 | |||
1인 | 2인 | 3인 | 4인 | |
생계비 | 30만원 | 50만원 | 70만원 | 100만원 |
주거비 | 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 | |||
의료비 | 가구원 수 구분 없이 최대 100만원 | |||
교육비 | 초(124,100원), 중(174,700원), 고(207,700원, 수업료+입학금) | |||
기타 | 연료비 106,700원, 해산비 70만원, 장제비 80만원, 전기요금 50만원 이내 |
지원 횟수는 총 1회인데요. 지원 금액 내에서 다회 지원 가능합니다.
또한, 생계비, 의료비 항목만 처음 지원 시와 상이한 위기상황, 질병이 계속 시 동, 구 사례회를 통해서 1회 추가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형 긴급복지 신청 방법 안내
신청은 거주지 구청 혹은 동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형 긴급복지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동주민센터나 구청, 서울시 다산콜센터 120에 연락하셔서 문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서울복지포털
서울시 복지포털을 아껴주시고 잘 활용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그간 이용하시는데 다소 불편함을 드렸던 점을 개선하여 다음과 같이 새롭게 출발하였습니다. 1.첫 화면 디자인을 새롭게 개편
wis.seoul.go.kr
이상으로, 서울형 긴급복지 생계지원비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 되는 글
미즈사랑 대출상품 안내, 여성 및 주부전용 신용대출 상품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꼭 알아야 할 청년 교육 정책 모음 (0) | 2023.01.16 |
---|---|
부산항만공사 체험형 청년인턴 채용 (0) | 2023.01.16 |
경기도 추천 눈썰매장 안내(광주,용인,가평,김포,안성), 겨울 아이와 놀러가기 좋은 곳 (0) | 2023.01.09 |
2023 챙겨봐야 하는 청년 정책 모음 (0) | 2023.01.09 |
서울시 지상층 이주비 지원( 반지하 거주 가구의 지상층 이주비 지원) (0) | 2023.01.06 |